초대장부터 답례품까지 결혼 준비 순서

결혼 준비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들뜬 마음으로 예식장부터 알아보지만, 시간이 갈수록 깨닫게 돼요. “생각보다 해야 할 게 이렇게 많다고?” 웨딩홀 계약, 드레스 투어, 스튜디오 촬영은 물론이고, 청첩장, 답례품, 하객 관리까지 작은 것 하나하나가 전부 준비할 일이라는 걸요. 그리고 이런 준비 과정이 순서가 엉키면 시간과 비용, 스트레스가 배로 들어가기도 해요. 그래서 오늘은 초대장부터 답례품까지 흐름에 맞춰 차근차근 준비하는 순서를 알려드릴게요.

  1. 예식장 및 웨딩홀 예약
    결혼 준비의 가장 첫 번째는 예식장 예약이에요. 대부분 인기 있는 웨딩홀은 최소 6개월에서 1년 전부터 예약해야 원하는 날짜와 시간대에 진행할 수 있어요. 예식장 선택 시 식대, 대관료, 주차 공간, 하객 수용 인원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장소가 확정되어야 청첩장 제작, 하객 초대 등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진행해야 해요.
  2. 스드메 패키지와 혼수 준비
    예식장을 예약한 후에는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계약을 진행해요. 촬영 날짜와 드레스 피팅 일정을 고려해 신랑 신부의 스케줄을 조율해야 해요. 동시에 신혼집 마련, 혼수 가전·가구 구매도 이 시기에 진행하면 좋아요. 혼수 준비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배송 기간도 있기 때문에 일찍 시작할수록 여유가 생겨요.
  3. 청첩장 제작 및 하객 리스트 작성
    결혼식 날짜가 확정되면 본격적으로 청첩장 제작을 시작해요. 보통 예식 2~3개월 전에 제작하고, 최소 한 달 전에는 하객들에게 전달해야 해요. 이때 하객 리스트 작성을 부모님과 함께 진행해 양가 하객 명단을 정리하고, 청첩장 수량과 배송 방법까지 계획해두세요. 모바일 청첩장, 종이 청첩장 중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지도 결정해야 해요.
  4. 예식 당일 진행 계획 및 식순 준비
    청첩장 발송이 끝나면 예식 당일의 식순과 역할 분담을 준비해요. 신랑 신부 입장, 부모님 입장, 주례사, 축가, 케이크 커팅 등 전체 식 순서와 시간표를 작성하고, 사회자, 주례자, 축가자와 충분히 소통해야 해요. 당일 하객 안내, 축의금 관리 등도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역할을 맡겨두면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5. 하객 답례품 선정
    하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답례품 준비는 예식 1~2주 전쯤 완료하는 게 좋아요. 답례품은 식사 여부에 따라 제공할지, 어떤 품목으로 할지 결정해야 하고, 수량은 하객 예상 인원에 맞춰 준비해요. 최근에는 과일 세트, 쿠키, 커피 세트, 수건 등 실용적인 답례품이 많이 선택되고 있어요.
  6. 최종 점검 및 리허설 진행
    결혼식 1~2주 전에는 최종 점검을 해야 해요. 예식장과 계약 내용 재확인, 스드메 일정 재점검, 하객 리스트 확인, 청첩장 전달 여부 체크, 답례품 준비 상태 등 모든 항목을 다시 확인해요. 예식 전날에는 리허설을 통해 식순, 동선, 역할 분담을 최종 점검하고, 신랑 신부의 의상, 액세서리, 부케 등 준비물도 빠짐없이 챙겨야 해요.

결혼 준비는 막상 시작하면 생각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과정이에요. 하지만 순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하나씩 체크하며 준비하면, 불필요한 실수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요. 초대장부터 답례품까지 결혼식의 시작과 끝을 미리 계획해두면 준비하는 동안 더 많은 여유와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준비 과정도 소중한 추억이 될 수 있도록, 꼼꼼히 체크하며 준비해보세요.

Leave a Comment